골반과 고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정리


골반은 인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보호하며, 다양한 근육과 인대의 부착을 통해 보행과 자세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. 이 글에서는 장골, 치골, 좌골, 천골, 미골 등 골반을 구성하는 주요 골과 대퇴골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고, 시상·관상·수평면을 기준으로 고관절의 굴곡, 신전, 외·내회전 등 주요 운동 범위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.


1. 골반(Pelvis)의 구조와 기능

골반은 체중을 다리로 전달하고, 장골(ilium), 치골(pubis), 좌골(ischium)의 세 뼈가 합쳐져 이루어진 관골(hip bone)과, 뒤쪽의 천골(sacrum), 미골(coccyx)로 구성된다.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.

  • 체중 지지 및 전달: 척주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골반을 통해 양측 대퇴골로 분산

  • 보호: 골반강 내부의 생식기·비뇨기·소화기 장기를 보호

  • 근육·인대 부착: 자세 유지와 보행에 관여하는 다수의 근육 및 인대가 부착

2. 장골(Ilium)

  • 위치: 관골의 가장 상부·외측 부분

  • 구조: 넓고 얇은 판 형태의 장골엽(wing)과 그 아래에 위치한 체부(body)로 구분

  • 기능: 넓은 면적을 통해 복근·허리근육 부착, 체중 분산

3. 치골(Pubis)

  • 위치: 관골의 앞쪽 아래 경계

  • 구조: 두 개의 가지(superior pubic ramus, inferior pubic ramus)

  • 기능: 치골결합(pubis symphysis)을 통해 좌우 골반 결합, 복근 및 내전근 부착

4. 좌골(Ischium)

  • 위치: 관골의 뒤쪽 아래 부분

  • 구조: 좌골체(ischial body)와 좌골궁(ischial ramus), 그리고 좌골극(ischial spine) 포함

  • 기능: 몸을 앉을 때 체중 지지, 햄스트링 근육 부착

5. 관골구(Acetabulum)

  • 위치: 장골·치골·좌골이 만나는 골반 측면의 오목한 관절면

  • 구조: 깊은 컵 형태로, 대퇴골두와 맞닿아 고관절을 형성

  • 기능: 안정적인 체중 지지와 운동 범위 확보

6. 천골(Sacrum)

  • 위치: 척추의 마지막 요추 아래, 골반의 뒤쪽 중앙

  • 구조: 다섯 개의 천추(vertebrae)가 융합된 삼각형 모양

  • 기능: 척주와 골반을 연결, 체중 전달 및 신경공 통해 좌골신경 등 통과

7. 미골(Coccyx)

  • 위치: 천골 하단에 붙은 작은 삼각형 구조

  • 구조: 네 개 이하의 미추가 융합

  • 기능: 골반저 근육 부착, 일부 체중 지지 보조

8. 골반의 특징 및 임상 의의

  • 광배·구조 다양성: 남녀의 골반 형태 차이(여성: 넓고 얕음, 남성: 좁고 깊음)

  • 산과학적 중요성: 산도의 폭과 경사 모두 분만에 큰 영향

  • 손상 시 합병증: 천골·골반 골절은 다혈관 손상 위험, 보행 장애 유발

9. 대퇴골(Femur)의 구조

대퇴골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뼈로, 대퇴골두(femoral head), 대퇴경부(femoral neck), 그리고 대퇴골체(femoral shaft)로 구분된다.

9.1 대퇴골두(Femoral Head)

  • 위치: 대퇴골 상단, 관골구와 맞닿는 구체형 관절면

  • 기능: 고관절 회전 및 안정성 제공

9.2 대퇴경부(Femoral Neck)

  • 위치: 대퇴골두 바로 아래, 체부와 연결되는 좁은 부위

  • 기능: 체중 분산과 관절 운동 범위 확보, 골절 위험 지점

9.3 대퇴골체(Femoral Shaft)

  • 위치: 대퇴골의 긴 중앙 부분

  • 구조: 전후면 곡선, 측면은 거의 직선

  • 기능: 하중 지지 및 보행 중 충격 흡수

10. 골반과 고관절 움직임

고관절은 3차원 공간에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며, 이를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해부학적 면(planes)과 주요 운동(movements)을 알아야 한다.

10.1 해부학적 면(Planes)

  • 시상면(Sagittal Plane): 좌우로 나뉘는 면, 굴곡(flexion)·신전(extension) 운동

  • 관상면(Frontal or Coronal Plane): 앞뒤로 나뉘는 면, 외전(abduction)·내전(adduction) 운동

  • 수평면(Transverse Plane): 상하로 나뉘는 면, 내회전(internal rotation)·외회전(external rotation) 운동

10.2 주요 운동(Movements)

  • 굴곡(Flexion): 대퇴골이 앞쪽으로 올라가는 동작, 시상면에서 일어남

  • 신전(Extension): 굴곡의 반대, 시상면 상에서 대퇴골이 뒤쪽으로 움직임

  • 외전(Abduction): 대퇴골이 몸 중앙에서 멀어지는 동작, 관상면에서 발생

  • 내전(Adduction): 외전의 반대, 관상면에서 대퇴골이 몸쪽으로 이동

  • 가측굴곡(Lateral Tilt):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, 보행 시 체중 분배 조절

  • 회전(Rotation): 고관절이 중심축을 따라 도는 동작;

    • 내회전(Internal Rotation): 대퇴골이 안쪽으로 회전, 수평면에서 발생

    • 외회전(External Rotation): 대퇴골이 바깥쪽으로 회전, 수평면에서 발생


정리:

  • 골반은 장골, 치골, 좌골, 천골, 미골로 구성되어 체중 지지·보호·근육 부착 기능 수행

  • 대퇴골은 대퇴골두, 경부, 체부로 나뉘며 고관절에서 다양한 운동 가능

  • 해부학적 면(시상·관상·수평면)에 따라 굴곡·신전·외·내전 및 회전 운동이 일어남

이 글을 통해 골반과 대퇴골의 주요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, 그리고 고관절 운동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.

다음 이전